본문 바로가기
공부/전공

[섬유 가공] 면 제품의 수지가공 (Resin Finish)

by travelYS 2024. 5. 13.
반응형

면 제품의 수지가공

1. 수지가공의 목적

가공제의 가교 반응 및 수지화 반응에 의한 방추성, 방축성 향상

 

 

2. 수지가공의 주요 변수

1) 섬유 제품의 성질

- C-2, C-3, C-6의 OH기의 반응성

- 미세구조: 비정질 영역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결정화도가 높으면 수지가 침투하기 쉽지 않음

- 직물의 구조

- 다른 섬유의 존재

 

2) 가공제

- 관능성 (functionality)

- 크기 (분자 구조)

- 반응성 (촉매, 공반응제)

- 농도: 농도가 높으면 부반응(side chain, 고분자화, 분자 내 가교 결합)이 일어남

- 가교 결합의 안정성: 열분해에 대한 내구성, 세탁에 의한 가수분해

 

3) 주위 환경

- 수분이 있을 경우  팽윤 된 상태에서 가교되어 습방추도 향상

- 수분이 없을 경우 팽윤되지 않아 짧은 가교가 형성되고 건방추도 향상

 

 

3. 수지가공의 공정 과정

- padding -> predrying -> curing -> washing -> drying => precure 공정

- 예민한 직물의 경우 의복을 제조하고 curing 실시(안정성 때문에) => postcure 공정

수지가공 공정과정
수지가공 공정과정

 

- 건식 큐어링(가교를 형성하는 과정)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함, 일반적인 가공법과 높은 온도의 열풍(160에서 200도에서 동시에 건조 및 열처리)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음

- 습윤 공정(mist): 16~24시간 동안 자연에서 batching -> 주로 침구 시트, 셔츠, 블라우스용 직물 등

- 습식 공정(wet): 16~24시간 동안 batching -> 테이블보, 벽걸이 장식용, 침구류, 가구용 직물 등 (인장강도와 인열강도의 저하가 적기 때문)

큐어링 방식에 따른 특징
큐어링 방식에 따른 특징

 

 

4. 수지가공의 특징

1) 장점

- 형태안정성 증가

- 방추성 증가

- 요구하는 촉감으로 가공 가능 (부드러움 혹은 빳빳함)

- easy care 특성 가짐

 

2) 단점

- 낮은 내마모성

- 인열강도 저하: 가교에 의해 신축성 부족

- 인장강도 저하: 가교결합으로 인해 변형가능한 폭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문제

- 일광견뢰도 저하

- amine 계열로 인한 악취

- 포름알데히드 방출

 

 

5. 수지가공에 사용하는 시약

1) Urea- Formaldehyde 수지 (UF 수지)

(1) DMU

- 저가이며 가공이 용이함

-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불량하여 포름알데하이드 유리 및 방출 가능성이 있고 세탁 후에도 잔존함

- 가교 결합 형성

- 수지화 반응: cellulose와 반응하지 않고 수지끼리 반응할 수 있음

DMU 결합식
DMU 결합식

 

(2) DMEU

- DMEU 단독 축합물이 1000MW 이며 수용성이고 고리구조가 있어 3차원 구조가 없다는 장점이 있음

- 방추성과 방축성 양호

- DMU 처리시보다 유연한 촉감

- 내염소성 불량

DMEU 결합식
DMEU 결합식

 

(3) DMDHEU

- HCHO 발생이 적어 내구성 양호

DMDHEU
DMDHEU

 

(4) DMPU

DMPU
DMPU

 

 

2) Melamine Formaldehyde 수지 (MF 수지)

(1) di&tri-methylol melamine

di&tri-methylol melamine
di&tri-methylol melamine

(2) hexamethylol melamine

hexamethylol melamine
hexamethylol melamine

 

* MF 수지는 UF 수지보다 내 염소성, 내 세탁성 양호

 

 

3) other crosslinking agent

- 질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내염소성이 양호

- N-Alkylol 화합물보다 방추성 향상은 적음 -> 대체적으로 N-Alkylol 화합물과 함께 사용함

 

(1) Acetalization

-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일시적으로 반응

- 약산성 용액에서는 반응시킴

- Cell-OH + nHCHO -> Cell-(OCH2)n-O-Cell

 

(2) Alkyl dihalides

- W&W 가공에 이용

- 알칼리성에서 epichlorohydrin을 형성하여 반응이 가능

Alkyl dihalides
Alkyl dihalides

 

(3) Epoxides

- 알칼리성 촉매를 사용하면 반응이 느리고 습방추성만 향상

- 산성 촉매와 고온에서 진행하면 건, 습방추성 향상

- 대체적으로 N-Alkylol (DMEU) 화합물과 병용

Epoxides
Epoxides

 

(4) Onium compounds

- Sulfix A와 DMPU, 산성촉매를 함유한 처리욕에 셀룰로오스계 직물을 패딩 하여 dry-cure 법으로 처리한 후 다시 alkali 액으로 wet-cure 반응시키는 방법

 

(5) divinyl sulfone

divinyl sulfone
divinyl sulfone

 

(6) Acrylamide 유도체

- free NH 존재

Acrylamide 유도체
Acrylamide 유도체

 

(7) Methylolacetone 화합물

Methylolacetone 화합물
Methylolacetone 화합물

 

(8) Ethylenimine 유도체

Ethylenimine 유도체
Ethylenimine 유도체

 

(9) ester 형성 PCA

- BTCA가 많은 연구와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음

BTCA
BTCA

 

* 에스테르 형성이 가능한 화합물의 경우 비교적 독성이 낮고 황변 가능성이 낮으며 내 가수분해성을 가짐

 

 

6. 수지가공에 사용하는 촉매

1) 약산성 촉매: 초산, 타르타르산

초산과 타르타르산 화학구조

 

2) 이민염: 큐어링 시 산을 유리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인산암모늄염(NH4)2HPO4, 염화암모늄 NH4CI 이 있음

 

3) 금속염

 

* 촉매의 선택이 처리 직물의 성질 (내 염소성, 내 세탁성 등)을 결정

* 암모늄 촉매를 사용하면 생선 비린내 발생 가능성이 있음

 

 

7. 수지가공에 사용하는 첨가제

1) 폴리에틸렌 분산액: 일열 및 마모 강도 향상, 봉제성 향상(sewing)

 

2) 음이온계 유연제: 설폰계 지방산 및 오일, 황화 지방산, 지방산 축합물

 

3) 양이온계 유연제: 4급 암모늄염, 아미노 에스터, 아미노아미드

 

4) 비이온계 유연제: 폴리글리콜에테르, 폴리글리콜 에스터, 에틸렌 옥사이드

 

5) 실리콘계 유연제: I형은 중합도가 500~600 정도, II형은 n, m이 각각 40~60 정도의 제품이 사용됨

 

 

8. N-Alkylol 사용 시 문제점

- 가수분해

- 내 염소성

- 생선비린내

- 강도 저하, 내마모성 저하

- 반응성 염료와 반응 시 광견뢰도 저하, 변색

 

1) 가수분해 -> HCHO 유리

- 알칼리성 조건에서는 NH가 없으면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음

- 산성 조건에서는 가수분해가 나타나 NH가 발생

=> 처리 직물의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은 산성 조건에서의 가공제의 가수분해 정도에 의해 좌우됨

- 질소에 α-alkoxy기가 있으면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음

 

2) 염소의 잔존

- chlorine을 함유하는 표백제 사용 시 염소와 가공제 반응

- 다리미질 (열처리) 시 섬유소 섬유 상해

- 수분이 존재할 때 열을 가 할 경우 섬유 손상 (염산에 의해)

- 염소의 잔존 평가: scorch test - 표백제를 함유하는 세제로 세탁하여 건조한 후 인장강도의 저하로 평가, 화학적인 방법으로 염소함량 측정

 

* 내 염소성 5 환 > 6 환 N의 전자밀도가 크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중 C=O 흡수 파동수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

 

3) 반응성 염료의 광견뢰도

- N-C 가수분해와 관계가 있음

- 가수분해가 잘되는 가공제의 경우 광견뢰도가 감소함

- 가수분해시 생성되는 free NH기가 광견뢰도 변화에 기여 (유리된 HCHO는 영향이 적음)

 

4) 생선 비린내 

- 고온, H2O 보관 시 문제가 됨

- curing 과정 시 부산물로 N(CH3) 3 형성: 촉매 중 NH4+가 존재할 때 NH3가 발생하는 경우 (UF 수지 사용)

- 직물에 산이 존재하면 안정화 (산과 결합) -> 내 세탁성

 

 

9. Durable press

- W&W 성과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가공. 즉 반복되는 세탁에도 수지가공 효과가 지속될 수 있는 가공으로 다림질이 필요 없고 치수의 안정성이 부여됨

- 심한 강도저하로 순면직물이나 레이온 직물 사용은 만족스럽지 못하며 P/C(폴리에스터와 면 혼방)에는 만족스러운 결과

- 많이 사용되는 가공제는 DMDHEU이며 습방추도가 좋고 강도저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음

- 기존의 W&W 가공은 면직물의 방추성을 증진시키나 봉제 후 주름제작이 어려워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

- 일반적으로 사용 수지량이 많고 현저한 강도 저하가 발생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에스터를 혼방하며 curing 시 polyester의 열고정 효과도 동시에 줌

 

1) Post cure (두꺼운 직물)

- 대표적인 예시로는 Koratron process가 있음

- 직물을 수지와 촉매가 섞인 처리액에 침지시켜 스퀴징 한 후 예비 건조만 하고 직물을 제단하고 봉제한 후 press를 하고 큐어링 장치에서 가열하는 방법

 

2) Pre cure (얇은 직물)

- 대표적인 예시로는 Recure process가 있음

- 일반적인 수지처리와 동일하게 처리한 후 봉제 후 고온, 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재열처리를 하여 형태를 세팅시킴

- 수지가 안정화되어 봉제품에 주름과 형태를 부여하기 위해 수지는 고압프레초밥 재가교가 일어날 수 있는 수지를 사용해야 함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