염색의 기본 이론
1. 염색 과정
1) movement of dye to fiber surface: 염료가 섬유의 표면으로 이동한다.
2) Adsorption of dye onto fiber surface: 염료가 섬유의 표면에 흡착된다.
3) Diffusion into fiber: 섬유 내부에서 염료의 확산이 이루어진다. 이 과정은 염색 속도와 연관되어 있다. (제일 느린 단계)
4) Exhaustion in the fiber: 섬유 내부에서 염료의 흡진이 이루어진다. (염료가 섬유에 완전히 결합)
2. Dyeing force (염착력)
1) Ionic bond (이온 결합): 염료와 섬유 간의 정전기적 인력
- Ionic dye: Acid dye, Basic dye,
- Ionic fiber: wool, silk, nylon, acrylic fiber
2) Covalent bond (공유결합): 두 원자가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전자를 공유하는 결합
- fiber reactive dye
3) Coordination dye (배위 결합): 한 원자가 전자 2개를 내놓고 이를 다른 원자와 공유하며 결합
- Mordant dye와 wool fiber
- Metal complex dye (금속 착염 염료)
4) Hydrogen bond (수소 결합): 수소원자와 질소, 산소, 불소와의 결합
- OH, NH2 group와 수소 결합
5) Van der waals force(반데르발스 결합)
- 이온이 관여하지 않는 힘
- 소수성 결합
- 염료를 평평하고 길게 만들면 섬유와 결합을 잘함
- 모든 염착력은 반데르발스 힘이 기본적으로 작용함
6) Mechanical entrapment (기계적 포괄)
- 물에 녹지 않는 염료를 강제로 섬유에 염색을 시킨 후 나가지 못하도록 가두는 힘
- Vat dye, Azoic dye
7) Solid solution (고체 용액)
- 소수성 섬유와 소수성 염료의 염색 과정에서의 힘
- PET and disperse dye
* Intermolecular force: ion, polar molecule, nonpolar molecule
3. 염착 좌석
1) Cellulose
- OH group: 직접 염료와 수소 결합, 반응성 염료와 공유 결합
2) Wool, silk
- 양쪽성 성질이므로 pH에 따라 염착좌석이 달라진다.
3) Nylon 6, Nylon 66
- wool, silk와 비슷하게 양쪽성 성질을 가져 염색 시의 pH에 따라 염착좌석이 달라진다.
4) Acetate
- COCH3 of O group: 분산 염료와의 수소 결합
- 염착좌석 필요 없음
5) Polyester
- Ester(-COO-): 분산 염료와의 수소 결합
- 염착좌석 필요 없음
6) Acrylics
- 음이온 부분이 수용액의 양이온성 염료를 끌어들임 (COOH, SO3Na)
4. 염색 평형
- 화학적 평형: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음,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됨 (동적 평형)
- 섬유에 있는 염료의 농도는 용액에 있는 염료의 농도와 균형을 이룸
- 평형염착량(흡착량): 온도가 증가하면 염착량은 감소
'공부 > 전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섬유 염색] 직접 염료 (Direct dye) (0) | 2024.05.06 |
---|---|
[섬유 염색] 염료의 흡착등온곡선 (Adsorption Isotherm) (0) | 2024.05.05 |
[실험 레포트] 수지가공 직물의 분석- 개각도법 (KSK 0550) (0) | 2024.05.05 |
[실험 레포트] 발수가공 직물의 분석 (0) | 2024.05.03 |
[실험 레포트] 발수가공 (Repellent Finishes) (0) | 2024.05.03 |